영혼을 돌보는 심리학 – 토마스 무어의 『영혼의 돌봄』(Care of the Soul)

바닷가 노을 아래 서 있는 여성의 실루엣과 함께 소개된 『영혼의 돌봄』 글귀가 새겨져 있다.

토마스 무어(Thomas Moore, 1940~ ) 라는 이름을 들으면, 사람들은 먼저 『유토피아』를 쓴 영국의 정치가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기서 이야기하려는 토마스 무어는 현대의 심리치료가이자 작가, 전직 수도자로서 완전히 다른 인물이다.그의 책 『영혼의 돌봄』을 통해 영성심리학의 깊은 메시지를 함께 살펴본다. 토마스 무어는 누구인가? – 수도자에서 심리 치료가로 토마스 무어는 1940년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났다. 8남매 중 하나였던 … 더 읽기

매슬로우의 피크경험(Peak Experience)이란?

Peak Experience(피크경험)이라는 텍스트와 함께 매슬로우의 이론을 상징하는 여성 실루엣과 일출의 유화 이미지

이 글은 심리학자 아브라함 매슬로우가 말한 ‘피크경험(Peak Experience)’에 대해 다룬다. 자아실현의 순간에 경험하는 강렬한 감정과 통합감, 영성적 체험의 예시를 소개하며, 독자가 자신의 삶 속에서 절정의 순간을 인식하고 더 깊이 살아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 매슬로우 이론의 핵심과 실제 사례, 피크경험을 자주 느끼는 사람들의 특징까지 풍부하게 설명되어 있다.

칼 융의 싱크로니시티: 의미 있는 우연?

칼 융의 싱크로니시티 이론을 설명하는 일러스트 이미지, 갈색 양복을 입은 융의 캐리커처와 한국어 텍스트 포함

칼 융의 ‘의미 있는 우연’, 싱크로니시티. 당신의 일상에도 무의식의 메시지가 스며들고 있을지 모른다. 지금 그 신호를 해석해보자. 융의 싱크로니시티는 단순한 심리 이론이 아니다. 삶의 깊은 층위와 연결된 의미 있는 우연, 그리고 그 메시지를 해석하는 우리의 감각에 관한 이야기다.

자크 라깡 2편 – 욕망 이론(desire-theory)을 가장 쉽게 정리한 글

자크 라캉 욕망이론을 시각화한 이미지. 실루엣 속 빈 원과 손에 들린 'a', 수식처럼 배열된 기호들로 구성됨.

욕망은 결핍에서 비롯되며, 타자의 시선을 통해 형성된다. 라깡의 욕망 이론(desire-theory)은 우리가 욕망하는 것이 정말 ‘나의 것’인지 되묻게 한다. 그 질문을 통해 나의 욕망을 다시 성찰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에리히 프롬-사랑과 자유를 말한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의 흑백 초상과 함께 그의 대표 명언 세 가지가 담긴 이미지. 자유, 소비, 사랑에 대한 통찰을 전하고 있다.

이 글은 인간의 자유, 사랑, 소외에 대한 깊은 통찰을 남긴 심리학자이자 사상가, 에리히 프롬의 생애와 사상을 탐구하는 포스트다.
그의 유년기의 복잡한 정서적 환경부터 시작해, 세 여인과의 관계, 프랑크푸르트학파와의 협업, 그리고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의 차이점, 대표 저서와 명언, 마지막으로 그의 철학적 유산까지, 프롬의 삶과 사유 전체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