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크 라깡 2편 – 욕망 이론을 가장 쉽게 정리한 글

실루엣 인간 머리에 '대상 a'가 투입되는 장면과 라캉의 욕망 이론( desire-theory)관련 수식

욕망은 결핍에서 비롯되며, 타자의 시선을 통해 형성된다. 라깡의 욕망 이론(desire-theory)은 우리가 욕망하는 것이 정말 ‘나의 것’인지 되묻게 한다. 그 질문을 통해 나의 욕망을 다시 성찰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에리히 프롬-사랑과 자유를 말한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의 흑백 초상과 함께 그의 대표 명언 세 가지가 담긴 이미지. 자유, 소비, 사랑에 대한 통찰을 전하고 있다.

이 글은 인간의 자유, 사랑, 소외에 대한 깊은 통찰을 남긴 심리학자이자 사상가, 에리히 프롬의 생애와 사상을 탐구하는 포스트다.
그의 유년기의 복잡한 정서적 환경부터 시작해, 세 여인과의 관계, 프랑크푸르트학파와의 협업, 그리고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의 차이점, 대표 저서와 명언, 마지막으로 그의 철학적 유산까지, 프롬의 삶과 사유 전체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있다.

의미를 찾아서: 빅터 프랭클의 삶과 로고테라피

빅터 프랭클의 대표 저서 3종 죽음의 수용소에서,그럼에도 삶에 예라고 답할때, 당신의 불안한 삶에 답하다.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에서 모든 것을 잃고도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색했다. 그는 로고테라피라는 심리치료법을 통해, 인간은 고통 속에서도 스스로 삶의 이유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철학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4가지 문화 아이콘으로 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 타임지, 괴테상, 지폐, 영화

1924년 TIME 커버에 실린 지그문트 프로이트 초상

프로이트는 어떻게 문화 속 아이콘이 되었을까?
타임지 표지를 장식하고, 괴테상, 오스트리아 지폐에 등장하며, 영화 속 인물로까지 남은 그의 사상과 대중문화의 교차점을 4가지 사례로 살펴본다.